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갓생살기

2022학년도 리트 LEET 추리논증 1번 📌 문제는 리트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하셔서 보시고 풀이만 참고해주세요 문항 유형 : 논증 평가 및 문제해결 / 강화약화 지문은 ◾ 범죄 행동이 두뇌에 있는 원인에 의해 결정된 것이어서 자유의지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면, 그 사람에게 죄를 묻고 처벌할 수 없다 는 생각을 반박하는 내용 👉저자의 주장 ◾ 이건 법에 대한 오해다. ◾ 법은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합리적 선택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한다. ◾ 법률상 책임이 면제되려면 : '피고인에게 합리적 행위 능력이 결여되어 있다는 사실'이 입증 되어야 한다. '합리적 행위 능력'이란 자신의 믿음에 입각해서 자신의 욕구를 달성하는 행동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 범행 당시에 합리적이었는지 아닌지를 결정하는데 신경과학이 도움을 줄 수는.. 더보기
왕초보경제공부독학 : 탑다운방식 바텀업방식 투자종목선정방법 뉴스레터가 안오는 날에는 경제관련 도서를 읽기로 했다. 어차피 나는 노베이스라 뭘 읽든 모른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명저로 꼽았던 '브라질에 비가 내리면 스타벅스 주식을 사라'를 펴들었고 읽기 시작했는데 처음부터 모르는 단어가 쏟아져 나와서 하.. 하나하나 찬찬히 공부하면서 읽어가기로! 나는 책을 빨리 읽는 것보다는 하나하나 공부하는 마음으로 천천히 읽어나가련다. 탑다운(Top-down)과 바텀업(Bottom-up) 투자할 기업을 찾는 방법에는 탑다운과 바텀업이 있다고 한다. 대충 위에서부터 내려오고 밑에서부터 올라가는건 알겠는데 어디 위? 어디 아래? 인지 모르겠어서 찾아봄 탑다운 방식 (Top-down) 거시 경제와 산업의 흐름을 분석해서 향후 성장 가능한 산업을 미리 예상해 보고, 그 산업에 속해.. 더보기
왕초보경제공부독학 : 은행 과점 체재를 깨기 위한 스몰라이선스와 핀테크기업 우리나라 5대 은행 KB 국민은행 우리은행 NH농협은행 하나은행 신한은행 농협은행이 5대은행에 들어가는 줄 몰랐음😅 은행 과점체재, 무엇이 문제인가? 은행은 공공재적 성격을 가지면서도 '과점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고 지적당했다. 2022년 4대 은행을 포함한 증권, 보험, 금융사들이 사상 최대 영업이익 실적을 달성한 것으로 발표되면서 일명 '은행 돈잔치'에 대한 비판이 커졌다. 관련기사 👇 https://www.yna.co.kr/view/AKR20230218034800002?input=1195m '올해도 돈잔치'…은행권, 임금 인상률·성과급 지급률 껑충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박대한 민선희 기자 = 주요 시중은행들이 최근 타결된 2022년 임단협 협상에서 임금인상률이나 성과급 지급 규모를 .. 더보기
왕초보경제공부독학 : 미국 반도체 보조금에 삼성과 SK가 난리 난 이유 / D램 낸드플래쉬 뜻 메모리반도체 기초상식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4974167?sid=101 美 반도체 보조금 28일 접수… 삼성·SK, 中 출구전략 '고심' 미국이 주도하는 반도체 공급망 협력체인 '칩4'(한국·미국·대만·일본)가 첫 본회의를 열고 오는 28일 미국 반도체보조금 신청 접수를 시작함에 따라 우리나라 반도체 기업들의 대중 리스크가 n.news.naver.com 🤷‍♀️ 미국 반도체 보조금이 뭔데? 👉 미국 내 반도체 공장을 건설하는 기업에 주는 생산 보조금(390억 달러, 23년 2월 28일 기준 51조 6,750억원), 연구개발( R&D) 지원금으로 110억달러 (23년 2월 28일 기준 14조 5,750억원) 등 5년간 520억 달러(23년 2월 28일 기준 65조 9.. 더보기
왕초보경제공부 : 얼라인파트너스가 총대를 맨 주주행동주의 얼라인파트너스자산운용이 SBS를 다음 타깃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파악됐다는 뉴스가 나왔다. 하지만 곧 "투자는 사실이나 주주 행동 계획은 없다"는 기사도 연이어 나왔다. 행동주의 투자, 행동주의 펀드, 행동주의가 뭐길래 도대체 이 난리일까? 주주행동주의 보통 주주들은 배당금이나 주식의 시세차익에 신경을 쓴다. 주주들이 경영을 같이 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본인의 이익에 신경을 쓴다. 내가 애플의 주식을 샀다고 해서 애플의 경영에 참여하려고 산다기보다는 시세차익을 노리는 거니까. (애플 주식 없음) 주주행동주의는 말 그대로 주주가 기업의 지배 구조와 경영에 개입하면서 적극적으로 이익을 추구하는 행위이다. 행동주의 투자 행동주의 투자란 일정한 의결권을 확보하고 자산 매각, 구조조정, 지배 구조 개선 등을.. 더보기
왕초보경제공부 : 메리츠화재 메리츠증권 상장폐지, 상장폐지는 안 좋은 거 아니야? 오늘 읽은 경제기사 👇 https://weekly.donga.com/BestClick/3/all/11/3798331/ 메리츠 계열사 상장폐지에도 시장 환호하는 이유 메리츠화재와 메리츠증권이 내년 초 상장폐지된다. 소위 ‘잘나가던’ 보험사와 증권사가 갑작스럽게 상장폐지를 결정했는데도 시장은 오히려 환호하는 분위기다. 상장폐지 이유가 100% … weekly.donga.com 메리츠화재와 메리츠증권이 내년 초 상장폐지된다. 상장폐지는 안 좋은 거 아니야? 하고 깜짝 놀란 나..😨 찬찬히 한 번 살펴보자! 먼저 상장폐지에 대해서 알아보자. 상장폐지란? 증시에 상장된 주식이 매매 대상으로서 자격을 상실해 상장이 취소되는 것을 상장폐지라고 한다. 비유적으로는 휴지조각..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 상장폐지되면 투자.. 더보기
왕초보경제공부 : 미국 1월 생산자물가지수(PPI)발표, 생산자물가지수가 뭔데? 하루에 30분씩 경제공부를 하기로 했다. 나는 경제 상식이 1도 없는데 앞으로 재테크를 하려면 경제에 대한 상식이 조금은 있어야 되지 않을까 싶어서 우선 뉴스레터를 읽으면서 하나씩 배워보기로 했다. 하루에 30분이라고 했지만 뉴스레터를 읽는데 거의 1시간 가까이 걸렸다. 모르는 게 너무 많아서, 하나씩 하나씩 찾아보면서 읽고 있는데 정말.. 난감했지만 계속하다 보면 언젠가는 인사이트가 생기고 모르는 것이 없어지겠지. 일단은 그냥 해보는 거다😊 미국 1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발표 생산자물가지수가 뭐길래 발표한다고 기사까지 나는 걸까? 이것을 알기 위해서는 먼저 '물가란 무엇인가?'부터 알아야 했다. 💸 물가의 정의 : 시장에서 거래되는 모든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 물가가 오른다는 것은(인플레이션) .. 더보기

반응형